브레이크가 고장 난 기차를 상상해 보자. 그 기차는 선로에서 작업하는 인부 5명을 향해 맹렬히 달리고 있다. 이대로면 인부 5명을 해칠 것이다. 하지만 선로 변경 스위치를 눌러 선로를 변경하면 다른 선로에 있는 인부 1명만 해치게 된다. 만약 당신이 기관사라면 스위치를 누를 것인가?
이 설문 조사에서 응답자 89%가 스위치를 누르겠다고 대답했다. 이번엔 질문을 바꿔보았다. 당신은 기관사가 아니라 그 상황을 지켜보는 구경꾼이다. 마침 당신 앞에 덩치 큰 사람이 있는데 이 사람을 선로에 떠밀면 기차를 멈출 수 있다. 덩치 큰 사람을 희생시키는 대신 인부 5명을 살릴 수 있는 것. 당신이라면 덩치 큰 사람을 밀겠는가?
응답자들은 앞서 받은 질문과 달리 고민에 빠진다. 무슨 차이일까? 스위치를 누르는 행위와 사람을 떠미는 행위 사이에서 인간의 감수성은 달리 작용한다. 두 질문은 《정의란 무엇인가》의 저자 마이클 샌델이 자주 인용하여 널리 알려진, 일명 ‘트롤리 딜레마(Trolley Problem)’다. 결론적으로 말하자면 두 번째 질문에 대다수의 사람들(78%)이 ‘밀지 않겠다’고 대답했다.
‘최대 다수의 최대 행복’이라는 공리주의적 관점에서 보자면 응답자들이 고민하는 행위는 모순이다. 우리는 다수를 위해 소수가 희생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동시에 다수를 위한 명분이 소수를 희생시켜서는 안 된다고 생각하는 이율배반적인 존재인 것이다. 그러나 이것이 과연 진짜 모순일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