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 대접을 받는 강이 있대. 2017년 뉴질랜드 의회는 황가누이 강을 인간으로 간주한다는 법을 통과시켰어. 강이 인간과 같은 권리와 의무를 갖게 된 거야. 뉴질랜드 정부는 강물을 깨끗하게 유지하기 위해 1,000억이 넘는 돈을 투입할 예정이래.
황가누이 강보다 더 팔자가 좋은 ‘개’도 있단다. 2007년 미국의 재벌이 애완견에게 1200만 달러의 유산을 남기고 죽었어. 이 개는 죽을 때까지 호텔에 살며 사치를 누렸는데, 다이아몬드가 박힌 개목걸이를 착용했고 호텔 주방장이 요리한 신선한 닭고기와 채소를 은접시에 담아서 먹었단다. 이쯤 되면 로봇이 시민권을 획득한 건 별로 대단해 보이지도 않아. 2017년 사우디아라비아는 로봇 ‘소피아’에게 시민권을 주었어.
사람의 ‘권리’가 생물을 넘어 무생물에게까지 확대되는 추세야. 대부분의 기업은 이미 법적으로 사람처럼 간주되고, 그에 준하는 권리와 의무를 가져. 이를 법인(法人)이라고 하지. 앞으로 연필의 권리, 모기의 권리, 이산화탄소의 권리도 생기는 날이 오려나.
지금이야 인권이란 게 너무나 당연한 권리로 알고 있지만, 사람이 사람 대접을 못 받아 온 야만의 역사가 있었음을 우리는 잘 알고 있어. 겨우 100여 년 전만 해도 대부분의 나라에서 여자와 아이는 남자의 소유물이었어. “아내에 대한 구타는 남성의 공인된 권리였고, 상층민이나 하층민이나 할 것 없이 수치심을 느끼지 않고 자행했다.”(트리벨리언, 《영국사》) 성별과 나이뿐만 아니라 핏줄과 피부색, 재산으로 사람의 등급을 결정하기도 했어. 힘 있는 자가 이런 식으로 원칙이랍시고 제 맘대로 정해 놓고는 이를 질서와 도덕과 종교의 이름으로 정당화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