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evel 3
대중문화, 미디어
목록

영화 읽기

<더 트루 코스트>,

이 새로운 게임이 낳은 결과를 보라

트렌디한 데다 저렴한 패스트패션 덕분에 기분이 ‘업’된 적이 있을 거다. 매장을 찾을 때마다 새로운 스타일이 눈에 번쩍 뜨인다. 일도, 공부도 고만고만한 일상에 찌든 내게 반짝이는 날개를 달아주는 것 같다. 잠시 우리가 입는 옷에 대한 이야기를 들어보자. 옷에 얽혀 있는 수많은 사람들의 얘기, 옷이 세상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도. 달콤한 패스트패션에 얽힌 거대 기업의 탐욕도.
image

 ‘옷’은 참 매력적인 매개다. 사람마다 조금 차이는 있지만 남녀노소 모두 옷을 좋아한다. 나를, 나 자신을 표현하는데 옷만큼 단순하면서도 명확한 건 별로 없다. 옷, 혹은 패션은 일상에서 누리는 소박한 예술이다.

게다가 대부분의 물가는 고공행진 중인데 이상하리만치 옷값만큼은 싸졌고, 실제로도 싸다. H&M, 포에버21, 자라에 들르면 밀라노의, 파리의, 뉴욕의 젊은이들이 입는 옷을 당장에 입을 수 있다. 세계적으로 유행 중인 패션으로 개성 있게 표현하는 이 일상의 예술(?)을 구사하는 일이 아주 손쉬워졌다. 물론 패스트패션 덕분이다.

패스트패션의 이면[1]을 다룬 다큐멘터리라? 왠지 내가 누리는 이 달콤한 소비에 재를 뿌릴 것 같은 기분이 든다. 가난한 나라의 노동자들에게 저임금을 강요하고, 아동노동 착취가 일어나고, 매캐한 화학염료로 대지를 손상시키고, 어마어마한 직물 쓰레기를 남겨 지구를 앓게 한다는, 뭐 그저 그런 얘기를.

맞다. 솔직히 패스트패션에 대한 다큐멘터리 <더 트루 코스트>는 가볍게 소비해 치우면 그만인 패스트패션 산업을 진지하게 다루고 있다. 당연히 사람들이 가볍게 즐길 만한 영화는 아니다. 하지만 천천히 화면 위로 흐르는 영상과 수치로 표현되는 사실적인 내레이션을 듣다 보면 심장박동이 빨라지는 게 느껴진다. 올겨울 내가 사 입은 자라의 따뜻한 스웨터 하나에 이렇게나 많은 이야기들이 얽혀 있다니, 놀랄 만한 일이다.

패스트패션, 옷을 사고 파는 방식을 완전히 바꾸다